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생활정보

뇌졸중 증상 및 예방 관리 방법

10월 29일은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작년 우리나라에서 뇌질환은 사망원인으로서 4번째일 정도로 조심해야 하는 질환이다. 뇌졸중의 위험요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예방 방법과 응급 상황에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뇌졸중
뇌졸증

 

뇌졸중

정의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사망에 이르거나 뇌손상으로 인한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위험 요인

당뇨병이 있는 경우와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경우 및 고혈압이 있는 경우입니다. 또한 과체중인 경우와 신체활동이 부족한 경우 및 흡연하는 경우입니다.

 

증상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과 갑작스러운 언어 장애·어지럼증·시야장애 및 한쪽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응급 처치

  1. 환자가 토할 땐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2. 지체 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
  3.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로 간다.

 

예방 관리

  • 스트레스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을 한다.
  •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한다.
  •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한다.
  •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한다.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꾸준한 치료를 받는다.
  • 가능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한다.
  •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인다.
  • 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 뇌졸중, 심근경색 응급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간다.

※ 뇌졸중 초기 증상은 한쪽 마비, 갑작스러운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이다. 심근경색 초기 증상은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식은땀, 구토, 현기증, 호흡 곤란, 통증 확산이다. 

 

 

 

 

대한민국 사망원인

  1. 악성신생물(암) : 160.1명
  2. 심장 질환 : 63.0명
  3. 폐렴 : 43.3명
  4. 뇌혈관 질환 : 42.6명
  5. 고의적 자해(자살) : 25.7명
  6. 당뇨병 : 16.5명
  7. 알츠하이머병 : 14.7명
  8. 간 질환 : 13.6명
  9. 고혈압성 질환 : 11.9명
  10. 패혈증 : 11.9명

 

※ 2020년도 사망원인, 단위 : 인구 10만 명당 명

 

 

우리나라에서 사망원인으로 가장 큰 것은 암이다. 그러나 뇌졸중은 사망원인이 4위인 것도 있지만 사망이 되지 않더라도 후유증이 커서 뇌졸중에 걸린 후에는 삶의 질이 너무 낮아진다. 그러므로 예방을 잘해서 건강한 삶을 살기를 바랍니다.

 

 

2021.11.15 - [라이프/생활정보] - 영유아 장염 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특징 및 예방 접종

 

영유아 장염 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특징 및 예방 접종

로타바이러스는 소아에게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장염 바이러스입니다. 특히 겨울철에 발생하는 로타바이러스는 백신이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통해서 예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영유아 장염 바이

happyspiri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