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생활정보

야외활동 시 식중독 예방 방법

일교차가 크고 낮 기온이 높은 가을철에는 야외 활동이 나 가정에서 식음료 보관과 섭취 시 식중독 발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중독 예방에 유익한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끊인-물
물 끓여 먹기

 

식중독 예방 방법

손 씻기

● 음식을 조리하기 전이나 후에는 비누 등을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음식 준비 및 보관

● 채소와 과일 등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빨리 사용하거나 차갑게 보관해야 한다.

● 생고기나 생닭 등은 손질하거나 계란 등을 만진 후에는 익히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채소와 과일 등은 만지면 안 되며 손질한 육류와 어패류는 냉장 상태로 보관해야 합니다.

 

조리 시

● 육류, 가금류, 달걀 등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과 조리를 하고, 칼과 도마는 식재료별로 구분해서 사용 후 깨끗이 씻어 교차 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조리 후

● 김밥을 만들 경우에는 재료를 충분히 익히고 식힌 다음에 조리하며, 도시락은 밥과 반찬을 식힌 후 별도 용기에 담습니다. 또한 미지근한 온도에서 미생물의 증식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익힌 재료는 식혀서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나들이할 때 조리된 음식은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로 보관 및 운반하고, 햇볕이 닿는 곳이나 차량 내부· 트렁크 등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안 됩니다.

 

기타 

● 야생의 덜 익은 과일이나 야생버섯 등을 함부로 채취해서 먹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마시지 않는다.

 

 

 

식중독 예방 수칙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2. 육류 중심온도 75℃(어패류는 85℃) 1분 이상 익혀서 먹는다.
  3. 물은 끓여서 마신다.
  4. 식재료와 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하고 소독한다.
  5. 날음식과 조리음식 구분하고 칼·도마 구분해서 사용한다.
  6. 냉장식품은 5℃, 냉동식품은 -18℃ 으로 보관한다.

 

 

2021.11.09 - [라이프] - 당뇨합병증 증상 및 대처 방법

 

당뇨합병증 증상 및 대처 방법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병으로 평생 관리해야 하는 병이다. 전신에 걸쳐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서 '합병증이 더 무서운 병'으로 불린

happyspiri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