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는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흔한 증상이다. 그러나 단단하게 뭉친 대변이 장 속에 계속 있게 된다면 치질, 복막염, 장폐색 등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만성 변비는 대장이 보내는 위험한 신호이므로 주의하고 예방을 해야 한다.
변비의 증상
- 배변 후에 잔변감이 있을 경우
- 토끼 똥처럼 모양이 동그랗고 딱딱한 변이 있을 경우
- 배변을 할 때 적어도 4번 중 1번은 과도하게 힘을 주는 경우
- 손가락으로 아랫배를 누르는 등 변을 볼 때 부가적인 처치가 있는 경우
변비 예방 수칙
- 아침은 반드시 챙겨 먹도록 한다.
- 요리할 때 통곡물로 만든 식품을 먹도록 한다.
- 10분 이상 변기에 앉아 있지 않도록 노력한다.
- 채소와 과일 및 견과류 섭취량을 늘리도록 한다.
- 식사를 소식한다면 하루 총섭취량을 늘리도록 한다.
- 화장실에서는 신문이나 스마트폰 등을 보지 않도록 한다.
- 물을 마시면 장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므로 아침 기상 후에 물을 마신다.
변비약 주의
자극성 변비약은 장점막을 직접 자극해 장을 운동시켜 배변 활동을 유도한다. 그러나 변비약을 자주 복용하면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약효가 떨어져 점점 약 복용량을 늘게 된다. 그러므로 변비약을 먹을 때에도 주의를 해서 먹는 것이 중요하다.
2021.11.30 - [라이프/생활정보] - 항생제 내성 위험성과 항생제 내성 예방 방법
항생제 내성 위험성과 항생제 내성 예방 방법
항생제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의약품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항생제도 과도하게 사용되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서 더 이상 진료가 되지 않습니다.
happyspirit.tistory.com
'라이프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루엔자 특징과 코로나19와 구분하는 방법 (0) | 2022.01.10 |
---|---|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 증명 유효 기간 확인 및 적용 안내 (0) | 2021.12.15 |
항생제 내성 위험성과 항생제 내성 예방 방법 (0) | 2021.11.30 |
뇌졸중 증상 및 예방 관리 방법 (0) | 2021.11.16 |
영유아 장염 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특징 및 예방 접종 (0) | 202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