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람하기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은 19세기 말부터 오늘날까지 역경과 고난을 이겨내고 발전한 대한민국의 역사를 기록하여 전승하고 시민들의 자부심과 소원을 모아 미래의 청사진을 볼 수 있는 역사 문화공간입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5층에 있는 역사관은 크게 3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첫째는 1894~1945년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 시대는 대한민국의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좌절을 자료와 함께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 제국주의 지배에 대한 저항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광복
광복

둘째는 1945~1987년의 역사를 보여준다. 대한 제국이 일제강점기로부터 광복한 이후 정부 수립 과정과 6·25 전쟁의 처 첨한 현실 속에서 고난하고 힘들었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잘 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민주주의 사회와 인간다운 생활을 위해 노력했던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들을 담아내고 있다.

 

대한민국수립
대한민국 수립

전쟁 이후 세계의 나라로부터 지원을 받던 대한민국은 새마을운동과 중공업의 발달을 통해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인적자원이 헌신적인 활동으로 상품 수출과 획기적인 발전을 계속적으로 이루었다.

 

새마을운동-미니어처
새마을운동 미니어처

셋째는 1987년 ~ 현재까지의 역사를 보여준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이 있었고, 1988년 올림픽 서울 개최가 있었다. 이러한 민주화와 세계화를 통한 대한민국의 발전은 단순히 경제발전을 뛰어넘는 것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1988)

이렇게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하나하나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역사 교육 장소라고 여겨진다.

 

 

5층 역사관을 관람하고 4층에 있는 체험관에 오면 스무 살이 되던 해, 시대의 표어, 어제의 식탁, 건강이 최고, 긴급통화, 소중한 한 표, 어린이 여러분, 그날의 기록, 나는 수험생, 함께 걷는 광장, 스펙 쌓기, 월급날, 랄랄라, 방송 편성표, 패셔니스타, 인생 네 컷이라는 주제에 맞도록 체험할 수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체험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체험관

들어오는 입구 안내 데스크에서 체험카드를 받은 후 각 부스에 가서 카드를 넣고서 체험을 할 수 있다. 어릴 적의 영상을 다시 볼 수 있어서 옛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재미있는 공간이다.

 

대학입학시험
대학입학시험

대한민국 대입 제도라는 시험제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보통 10년에 한 번씩 큰 제도 변화가 있었다. 역시 대입시험문제는 보면 머리가 아파지는 것 같다.

 

텔레비전-프로그램
텔레비전 프로그램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지만, 옛 시절에는 라디오가 참으로 귀중한 소통의 창구였다. 라디오를 듣고 일하면서 글도 보내고 옛 추억이 절로 나온다.

 

그리고 지금은 유튜브로 거의 모든 영상을 보지만 텔레비전 시대의 온 가족이 같이 모여 웃으면서 방송을 보던 생각이 떠오른다.

 

라디오-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마지막으로 1층으로 내려오면 어린이박물관이 있다. 지금은 코로나로 활동과 체험을 마음대로 할 수 없지만 아이들이 새롭게 대한민국 역사를 익힐 수 있는 즐거운 곳이라고 생각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어린이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이곳은 광화문 교보문고가 가깝다. 자녀들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대한민국의 역사를 체험하고, 교보문고에서 필요한 책을 사면서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2021.05.09 - [여행] - 서울역사박물관 관람하기

 

서울역사박물관 관람하기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역사박물관을 오전시간에 관람해 보았다. 박물관은 보통 실내이기에 비가 와도 즐겁게 관람을 할 수 있습니다. 관람하는 동안 비가 촉촉히 내려 관람 분위기는 훨씬

happyspirit.tistory.com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수궁 둘러보기  (0) 2021.05.24
국립민속박물관 관람하기  (0) 2021.05.22
광화문 지하 충무공이야기 둘러보기  (0) 2021.05.16
광화문 지하 세종이야기 둘러보기  (0) 2021.05.14
청운문학도서관 둘러보기  (0) 2021.05.13